• 최종편집 2024-03-28(목)

뉴스
Home >  뉴스  >  속보

실시간뉴스
  • 최맹림 컬럼/자연과 마음을 치유하는“치유농업”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로 시작되는 청산별곡은 한국인의 마음에 깊이 새겨져 있는 노래이다. 작자 미상의 고려시대 가요로,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표현한 작품으로 알고 있다. 엉뚱한 생각인지 몰라도, 1,000년 전 고려시대 사람들도 청산에서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끼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최근 ‘치유농업’이라는 용어가 회자되고 있다. 치유농업은 국민의 심리적 안정과 휴양, 건강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다양한 농업· 농촌지역자원의 활용과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또는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말한다. 그러면, 농업과 치유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치유농업에서는 농업문화와 도시에서 경험하기 힘든 자연경관을 결합하여 치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채소와 꽃 등 식물뿐만 아니라 가축 기르기, 산림과 농촌문화자원을 이용하는 등의 방식을 포함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의료적, 심리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을 치유하는 목적으로 농업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농사와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농사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건강의 회복을 위한 수단으로 농업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이런 치유농업은 정서적 치유뿐만 아니라 도시와 농촌의 관계를 강화하고 농촌 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긍정적 효과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농촌진흥청 연구 결과에 따르면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인지건강이 개선되고. 청소년의 폭력성이 감소하며, 대사성 만성질환자의 건강이 향상되는 등 과학적으로도 증명되었다고 한다. 치유농업은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바탕으로 치유, 교육, 삶의 질 향상효과를 경험하며 유럽에서 시작되었고 현재는 많은 국가들이 치유농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네덜란드, 이탈리아, 일본 등은 국가 차원의 건강 증진 프로젝트로 치유농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등은 자연환경을 활용한 ‘치유요법’을 제도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3월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을 위한 법률(치유농업법)」이 시행되면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회복 및 유지 증진을 도모하면서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한다. 우선. 치유농업시설 운영자 교육을 추진하는 지역별 치유농업센터 2개소와 식물, 곤충, 동물, 경관을 활용하는 치유농업시설 234개를 구축하는 등 인프라를 확보하고,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양성기관 15곳을 지정하였으며 253명의 치유농업사가 배출되었다고 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치유농업도 나날이 높아지는 국민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크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며, 높아지는 사람들의 치유농업에 대한 관심과 함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본다. 농업과 관광을 결합한 형태로 발전하거나 도시공원이나 녹지공간에서도 활용될 수 있고 생태계의 복원과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활용한 치유농업 체험이나 온라인 콘텐츠가 개발될 수도 있다고 본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치유농업은 관련 정책과 제도를 얼마나 잘 만들고 지원해 주느냐에 따라 국민의 건강 증진은 물론 농촌복지 향상, 농업의 공익적 가치 확산, 그리고 일자리 창출 등 소멸되어 가는 농어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인가가 달려 있다. 최맹림 기자
    • 농어촌
    • 귀어귀촌
    2023-06-28
  • KAA 교통안전지도사 자격시험
    교통안전 관련 및 사고 예방, 안전 운전, 안전 보행 등 교통안전 전문가 양성 사단법인 한국자동차협회(회장 성백진)는 ‘제9회 교통안전지도사(2급) 자격 검정 시험’을 12월 28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한국자동차협회가 주관·실시하는 교통안전지도사(2급) 자격 검정 시험은 교통 안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통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교통사고 요인과 운전자 심리 상태 △어린이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분석·예방 대책 등 교통안전에 관한 전문성을 갖춘 교통안전 전문가, 교육 강사·지도자, 차량 안전 담당자·관리자 등을 양성 및 배출하는 자격 제도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9년 국내에서는 교통사고로 3349명이 사망했다. 이는 매일 9.2명이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 것과 같다. 교통사고 부상자 수 역시 2019년 34만1712명으로, 매일 936.2명이 교통사고로 부상을 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단순 사고 비용만 해도 25조856억원에 이른다. 이렇게 교통사고로 발생하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꾸준히 교통안전 활동을 펼쳐온 한국자동차협회 성백진 회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경제 성장은 여느 나라 못지않게 이뤘지만, 교통사고와 관련해서는 후진국형 패턴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교통사고에서 더 안전한 우리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무엇보다 안전한 교통 환경이 중요하다”며 이런 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교통안전 전문가를 배출하기 위해 유일하게 시행되는 교통안전지도사(2급) 자격 시험은 필기와 직무 연수 교육(평가)으로 나눠서 진행된다. 1차 필기시험은 객관식 사지선다형으로 △교통안전 지도론 △유소년의 교통사고 예방 △교통사고 예방 △교통 법규 및 사고 사례 총 4과목으로 이뤄져 있다. 각 10문항씩 총 40문제가 출제된다. 2차 직무 연수 교육(평가)은 1차 필기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온라인 동영상을 통해 △교통에 관한 안전 교육 △교통사고 예방 △교통 법규 등의 과목에 대한 교육 이수 및 평가가 이뤄진다. 가산점은 국가 기술 자격 법령이나 그 밖의 법령이 정한 자격증 소지자 및 해당 검정 시험 교육 과정을 이수한 자 등 해당 증빙 서류 제출 시 가산점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초등·중등·고교 교사를 비롯해 일반 공무원, 전·현직 군인(장교 및 부사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KAA평생교육원 수료자 등은 8%~10%의 가산점이 주어지며, 전·현직 경찰 공무원의 경우 교통안전 관련 부서 5년 이상 근무 경력(재직)에 대한 증빙 서류 제출 시 1차 필기시험 모든 과목이 면제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자동차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자동차협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kaa21.or.kr 송기형 기자
    • 뉴스
    • 사회
    • 교통/관광
    2021-11-22

실시간 속보 기사

  • 미선나무 보러 괴산으로 오세요!
    오는 29일부터 31일까지 '제11회 미선나무 꽃 축제' 및 '제4회 미선 향 전시회' 관련 위원회와 괴산군청 주관으로 개최된다. 미선나무는 충청북도 진천에서 최초로 채집되어 명명된 한국 특산식물로써, 진천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14호로, 괴산에서 자생하는 것은 천연기념물 147호로 지정되었다. 특히 세계적으로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종이다. 또한 신품종 미선나무 '옥황1호'(출원인 박형순, 양문효, 김관호)가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에 출원되어 품종보호권이 설정되었으며, 밝은 황색이 특징이다. 제11회 미선나무 꽃 축제는 미선나무마을 축제추진위원회(위원장 우종태)에서 주최하며,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미선나무마을에서 전시 및 장터가 준비될 예정이다. 제4회 미선 향 전시회는 괴산군청(군수 이차영)과 미선나무 작목반(대표 김병준)이 주최하며, 미선나무 분재전시회 및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전시 등이 준비되어 있다. 권오웅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은 "대한민국 고유의 미선나무를 지키고 신품종 개발을 위한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노력에 감사하며, 이번 행사에 많은 관람객이 참석해서 미선나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뉴스
    • 속보
    2019-03-27
  • 콩 풍년 농사는 온전한 씨앗 선별부터 시작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콩을 기계로 재배하고 안정적인 생산량을 확보하기 위한 파종 전 씨앗 선발 방법과 토양 특성에 따른 씨뿌림 방법을 소개했다. 기계로 씨를 뿌릴 때 콩 씨앗은 일정한 크기로 골라야 파종기에서 배출도 잘 되고 입모도 균일해진다. 콩 재배의 기계화율은 64.8%로, 파종 정식에 기계를 이용할 수 있다. 파종기를 이용하면 사람이 할 때보다 노동력 부담을 87% 덜 수 있다. 밭에서는 점파식 파종기, 논에서는 줄뿌림 파종기 사용을 추천한다. 논토양 특성상 토양 수분이 많아 씨앗 배출구가 막힐 수 있으므로 줄뿌림 파종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병든 종자는 싹이 트지 않고 자라면서 병을 퍼뜨려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병이 없고 온전한 씨앗을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든 종자는 주로 색이 변해 있어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자주무늬병에 감염된 종자는 분홍색 또는 자주색을 띠며, 발아율을 낮추는 원인이 된다. 바이러스병(SMV)에 감염되면 검정색, 갈색의 얼룩무늬가 나타난다. 미이라병에 감염된 종자는 오그라들거나 길게 늘어진 형태로, 금이 가고 종종 희끗희끗하게 보이기도 한다. 감염된 종자는 골라내는 것이 중요하며, 파종 전에 종자 소독을 하는 것이 좋다. 약제와 관련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업기술포털 농사로(www.nonosar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생산기술개발과 정태욱 과장은 "콩 재배의 기계화와 안정적인 재배는 크기가 일정하고 건강한 종자를 선발하는 것부터 시작"이라며, "토양 특성에 맞는 파종기를 사용하면 노동력 부담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 뉴스
    • 속보
    2019-03-27
  • 인삼 '잿빛곰팡이병·점무늬병' 출아 전부터 관리해야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인삼 출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잿빛곰팡이병과 점무늬병 발생도 늘 것으로 우려된다며 농가에 철저한 사전 방제를 당부했다. 올해는 평년보다 기온 상승이 빨라 인삼 싹 나는 시기가 당겨지고, 지상부에 큰 피해를 주는 공기 전염성 병 발생도 늘 전망이다. 잿빛곰팡이병과 점무늬병은 포자가 인삼밭의 토양 잔재물에서 겨울을 난 뒤 출아기에 날아들면서 병이 발생한다. 미리 살균제를 뿌려 병원균의 밀도를 낮춰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등록된 살균제는 농촌진흥청 누리집(http://www.rda.go.kr)에서 '농업 기술-농자재-농약 등록 현황'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같은 약제를 잇달아 사용하면 저항성이 생기므로 작용 기작이 다른 전용 살균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맞춰 번갈아 뿌려준다. 농약의 작용 기작은 시판 농약 포장지 윗부분에 표시돼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 후 사용한다. 인삼 점무늬병은 잎, 줄기, 열매 등 지상부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공기 전염성병으로 전 생육 기간 동안 발생한다. 특히, 바람이 불면서 출아 후의 연약한 줄기에 기계적인 상처가 생겼을 때 많이 나타난다. 이에 방풍 울타리와 해가림막을 일찍 설치해 관리해야 한다. 인삼 잿빛곰팡이병도 잎, 줄기, 열매에 나타나며, 주로 잎에 발생한다. 특히, 습기가 많으면 발생이 심해진다. 인삼밭에서 줄기지제부의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침입하며, 인삼머리(뇌두) 또는 줄기지제부 조직으로 급속히 병이 확산돼 뿌리가 썩고 잎에는 수침상의 병반을 만든다. 출아 후, 그리고 장마 전에 약제를 뿌려 전년도에 죽은 인삼 잔재물(고죽)을 없애면 병원균 밀도도 낮출 수 있다. 출아 후 이상기온으로 저온 피해가 발생하면 출아한 인삼의 자람세가 약해져 병 발생이 확산된다. 출아 전 해가림시설과 방풍시설을 정비해 저온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비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현동윤 인삼과장은 "올해는 빠른 기온 상승으로 병 발생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농가에서도 피해를 입지 않도록 예방에 힘써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뉴스
    • 속보
    2019-03-26
  • 경기 용인(청미천), 파주(공릉천) 야생조류 분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경기 용인(청미천)과 파주(공릉천)에서 3.19일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3.25일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최종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 경기 용인 청미천 : H5N2형, 경기 파주 공릉천 : H7N7형 농식품부는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확진되었지만, 차단방역 강화를 위해 해당지역에 대해서는 7일간 소독 강화 조치가 유지된다고 설명하고, 현재 철새에서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지속 검출되고 있는 위험시기로 전국 모든 가금농가에서는, ▪출입 인원과 차량에 대한 철저한 출입통제, ▪농가 진출입로와 축사 주변에 충분한 생석회 도포, ▪매일 축사 내·외부와 농가 주변 도로 등 소독, ▪축사별 장화(신발) 갈아신기와 축사 출입 전 소독, ▪철새도래지와 저수지 등 방문 자제 등 차단방역 수칙을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뉴스
    • 속보
    2019-03-26
  • 동백꽃 섬에서 여수 밤바다를 비춰주는 오동도등대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3월‘이달의 등대’로 전남 여수시에 위치한 ‘오동도등대’를 선정했다. 오동도등대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있는 오동도 정상에 설치된 등대이다. 1952년에 설치되어 매일 밤마다 10초에 한 번씩 46km 남짓의 남해 먼 바다를 비추며 여수ㆍ광양항을 오가는 배들에게 안전한 길잡이가 되어주고 있다. 원유와 철광석을 가득 싣고 광양항을 향해 오는 배들도 오동도등대를 보는 순간, 비로소 항해를 무사히 마쳤다는 생각에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다고 한다. 오동도등대는 등대와 그 주변 경관이 매우 뛰어나 해양수산부의 ‘아름다운 등대 16경’과 국토교통부의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등대해양문화공간으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또한, 오동도등대에는 남해의 비경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와 함께 평소 여행하기 힘든 독도등대, 거문도등대, 어청도등대를 가상현실로 만나볼 수 있는 등대홍보관이 설치되어 있다. 등대 앞마당에 있는 빨간 달팽이 모양의 ‘느림보 우체통’은 등대에서의 추억을 1년 후에 배달해 주고 있으며, 주말에는 가끔씩 음악회, 사생대회 등 각종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어 가족 나들이에도 적합하다. 오동도는 매년 3월이면 3천여 그루의 아름드리 동백나무들로 섬 전체가 붉게 물든다. 공원해설사의 안내를 받아 한 시간 정도면 오동도의 절경을 넉넉하게 감상할 수 있고, 각종 기암괴석에 담겨진 전설도 들을 수 있다. 오동도 바로 앞 자산공원을 방문하면 해상케이블카를 타고 여수 밤바다를 즐길 수 있으며, 새조개, 서대회, 갓김치, 간장게장 등 여수 10미(味)도 맛볼 수 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역사적ㆍ문화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활용하여 해양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1월부터 ‘이달의 등대’를 선정하여 소개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울산 ‘간절곶등대’, 2월에는 충남 보령 ‘무창포항 방파제등대’를 선정한 바 있다. 올해‘이달의 등대, 도장 찍기 여행(스탬프 투어)’을 통해 ‘이달의 등대’를 방문하는 경우 매 100번째 참가자에게 기념품을 증정하며,‘이달의 등대’12곳을 모두 완주한 사람에게는 특별히 준비된 등대 관련 기념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또한 ‘이달의 등대’ 방문 후 자신의 누리소통망(SNS)에 후기를 작성하고 이를 국립등대박물관 누리집의 ‘참여하기’에 남기면, 추첨을 통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스페인의 라코루냐등대(헤라클레스의 탑)를 탐방할 수 있는 한국-스페인 간 항공권(1명, 2매)과 국내 최남단 마라도등대 탐방을 위한 항공권 및 승선권(1명, 2매), 최동단 독도등대 탐방을 위한 승선권(1명, 2매)을 증정할 예정이다. 행사 참여방법, 도장 찍기 여행 등과 관련된 사항은 ‘국립등대박물관’누리집(www.lighthouse-museum.or.kr)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 뉴스
    • 속보
    2019-02-28
  • 농축산물 생산 안전관리 및 신·재생에너지 전담팀 신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농축산물 생산단계 안전관리 강화, 농식품 분야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전담할 팀을 각각 신설하고, 급식을 통한 지역농산물 선순환 체계 구축,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악성 가축질병 유입 차단 등을 담당할 인력을 보강한다고 밝혔다. 이는 26일 공포·시행되는 ‘농림축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에 포함된 사항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축산물위생품질관리팀’을 신설하고 전담인력 3명을 보강한다. 이번에 신설되는 팀은 산란계 농장 및 종축장 안전관리인증 의무화 추진, 유해물질 산란계 농장 전수조사 등 관리 강화, 농장 안전관리인증 기준(HACCP) 강화 및 사후 관리 불시점검제 도입 등 「식품안전개선 종합대책」(’17.12월) 후속 조치와 농약 등 유해물질에 대한 사전안전관리를 위한 농약허용물질관리제도(PLS) 시행에 필요한 농가 교육·홍보 등을 전담할 예정이다. * 농산물 안전관리(식생활소비정책과)와 축산물 위생관리(방역정책과) 업무를 통합하여 유통소비정책관실에 설치(팀원 8명) 둘째, 농식품 분야 신·재생에너지가 농가 소득 증진 및 농촌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체계적으로 추진할 ‘농촌재생에너지팀’을 신설하고 인력 3명을 보강한다. 이번에 신설되는 팀은 정부가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보급하기로 한「재생에너지 3020 계획」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고, 농촌 지역의 체계적인 태양광 발전, 주민참여형 시범사업 추진 등 농식품 분야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전담할 예정이다. * 농촌신재생에너지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농업생명정책관실에 설치(팀원 5명) 셋째, 중소농의 판로를 확보하고,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유통채널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급식에 지역 농식품 사용을 촉진하는 지역단위 먹거리선순환 체계 구축 업무를 담당할 인력을 2명 보강하고, 담당과 명칭을 ‘식생활소비정책과’에서 ‘식생활소비급식진흥과’로 개정한다. 이번에 보강될 인력은 먹거리선순환체계 구축 TF(‘18.7~’19.2월)에서 마련한 광주·전남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군급식 로컬푸드 공급 선도모델을 10개 혁신도시 공공기관, 접경지 군부대(장성 상무대, 논산 육군훈련소), 학교(경북·안동) 등의 공공급식에 확산하는 업무를 전담할 예정이다. 넷째, 스마트 농업을 조기에 확산시키고 체감성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인력을 2명 보강한다. 이번에 보강될 인력은 농산업정책과에 배치되어 창업 생태계조성(청년창업 보육센터, 임대형 스마트팜, 농지·자금 등 지원),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스마트팜 규모화·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판로개척 등) 및 산업 인프라 구축(실증단지 중심으로 기자재 수출, 빅데이터 수집 및 표준화) 등을 전담할 예정이다. 다섯째, 지난해 8월 이후 중국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국경검역 인력 10명과 유전자변형생물체(LMO)등 고위험 외래 식물병해충 검역강화를 위한 국제특송‧우편 식물 검역, 동식물검역 및 연구인력 등을 포함하여 33명을 증원하였다. 이밖에도 조류인플루엔자(AI)·구제역 방역개선대책의 일환으로 가축방역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미등록 또는 위치정보시스템(GPS) 미장착 축산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축산차량 통합관제센터 운영인력 4명을 보강하였고, 현장농정 서비스 개선과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전남 진도와 경북 봉화 사무소를 각각 증설하였다. 가축분뇨 관리 및 이용, 축산물 안전성 관리 및 농작물 외래 병해충 예찰 방제 등 부처 간 긴밀한 정책협력·조율이 요구되는 분야에 우수 인력을 상호 파견하는 협업정원제도 적극 추진한다. 농식품부 박범수 정책기획관은 “이번 부서 신설과 인력 증원은 농축산업 안전 관리 강화, 신재생에너지 확대, 로컬푸드(지역먹거리) 체계 확장, 스마트 농업 확산 등 2019년도 농식품부 업무보고에서 국민들에게 약속한 중점과제 추진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면서, ”금년은 문재인 정부 3년차로서 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조직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뉴스
    • 속보
    2019-02-26
  • 전남 순천(순천만)서 H7형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 검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이개호)는 전남 순천시(순천만)에서 12.4일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환경부 검사 결과, 12.9일 H7형 AI 항원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AI 긴급행동지침(SOP)에 의해 항원이 검출된 지점을 중심으로, ① 반경 10km 지역을「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 ② 해당지역 내 가금과 사육중인 조류에 대한 예찰·검사, 이동통제와 소독, ③ 철새도래지와 인근농가에 대한 차단방역 강화, ④ 해당 지자체의 광역방제기 등 방역차량을 총 동원한 매일 소독 실시 등 방역조치를 취했다. ※ 고병원성 여부 판정까지 1∼2일 소요 예정 한편, 제주 하도리‧서울 강서지구(12.3. 채취)와 전남 강진 만덕간척지(12.4. 채취)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검역본부 정밀검사 결과, 모두 저병원성 AI로 최종 확진됐고 밝혔다. * 제주 하도리 : H5N1형, 서울 강서(강서지구) : H11형, 강진 만덕간척지 : H7N7형 < 농림축산식품부>
    • 뉴스
    • 속보
    2018-12-10
  • 「군위 법주사 괘불도」,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등 6건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군위 법주사 괘불도」를 비롯한 대형 불화(괘불)와 고려 시대 금속공예품, 조선 시대 고문서 그리고 ‘신라의 미소’로 잘 알려진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등 6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했다. 이번에 지정된 괘불도 3건은 문화재청이 전국 사찰에 소장된 대형 불화(괘불도 掛佛圖)의 보존관리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밀조사 사업 대상에 포함된 작품이다. * 괘불도: 야외에서 거행되는 영산재(靈山齎), 천도재(遷度齋) 등 대규모 불교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불화로, 보통 10m가 넘는 웅장한 크기와 화려한 색채, 장엄한 종교의식이 어우러져 세계적으로 유례를 보기 힘든 유․무형의 독창적인 예술세계임 보물 제2005호 「군위 법주사 괘불도(軍威 法住寺 掛佛圖)」는 1714년(숙종 40년) 5월 수화승 두초(杜) 등 9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완성한 괘불이다. 총 16폭의 비단을 이었고 높이 10m에 달하는 장대한 크기로서, 거대한 화면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두 손을 좌우로 벌려 연꽃을 들고 있는 입상의 여래를 화면 중간에 큼직하게 그렸다. 부처임에도 화려한 보관과 장신구를 착용한 보살의 모습으로 구현한 점, 하단에 용왕(龍王)과 용녀(龍女)를 협시보살처럼 배치한 점 등 다른 괘불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화면 구성을 시도한 것이 주목된다. 담채기법의 색감과 세밀하고 정교한 필선, 다양한 문양 등이 어우러져 작품의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연꽃을 들고 있는 주존불의 모습은 조선 후기 불화의 새로운 도상(圖像)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된다. * 협시보살(脇侍菩薩): 본존불을 좌우에서 보좌하는 보살 보물 제2006호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禮山 大蓮寺 毘盧遮那佛 掛佛圖)」는 1750년(영조 26년) 축명(明), 사혜(思慧) 등 4명의 화승이 조성한 것으로, 세로로 긴 화면에 비로자나불을 중심에 배치하고 좌우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상하로 그려 오존(五尊) 형식을 취한 구도이다. * 문수보살(文殊菩薩): 지혜를 맡아보는 보살, 보현보살(普賢菩薩):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음 아난존자(阿難尊者)·가섭존자(迦葉尊者):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 중 한 사람 일목요연한 구도와 날씬하고 비례가 적당한 인체표현, 붉은색, 하늘색, 분홍색 등 밝고 부드러운 색채의 사용 등은 18세기 전반 충청도 지역 불화 양식을 계승했음을 잘 보여준다. 19세기 이전 조성된 비로자나불 괘불도는 남아있는 예가 거의 없으며, 현존하는 작품은 주로 석가모니불, 노사나불과 함께 삼신불(三身佛)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 괘불도는 유례가 드문 오존(五尊)으로 구성된 작품이자 18세기 중엽 충청도 지역의 괘불 제작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써 조선 후기 불화 연구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보물 제2007호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尙州 南長寺 靈山會 掛佛圖)」는 야외에서 거행하는 불교의식인 영산재(靈山齋)에 사용된 불화로, 1788년(정조 12) 조선 후기 대표 불화승인 상겸(尙謙)의 주도로 총 22명의 화승이 참여하여 완성한 것이다. * 이 불화와 함께 전해지고 있는 문헌인 불사성공록(佛事成功錄)에 의하면 앞 시기에 조성된 괘불(1776년)이 기우제를 지내던 중 비를 맞아 손상되자 한양에서 온 화승들에게 맡겨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를 조성하게 되었다고 함 이 괘불도는 높이 10m가 넘는 큰 규모에도 불구하고 본존인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주위에 권속을 짜임새 있게 배치하였고 밝고 짙은 채색으로 장식적인 요소가 돋보이는 화면이 특징이다. 명료하고 능숙한 필선으로 대상을 표현하여 격조 있는 품위를 보여주고 있으며, 18세기 후반 경상북도 지역의 대표적인 불화 중 하나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보물 제2008호 「‘경선사’명 청동북(‘景禪寺’銘 金鼓)」은 사찰의 일상적 불교 의례에서 사용된 불교의식구(佛敎儀式具)의 한 종류인 청동북(金鼓)으로서, 옆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무인년(戊寅年)’인 1218년(고려 고종 6년) 경 무관 6명이 발원해 경선사(景禪寺)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 청동북은 표면에는 4개의 굵고 가는 동심원을 둘렀고 중앙에는 연꽃 씨를 표현하였으며, 그 주위를 16개의 연화문으로 돌려가며 장식해 화려하고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갖췄다. 고려 시대 청동북 중 아래에 공명구가 뚫려 있는 사례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작품이다. 지금까지 고려 청동북은 뒷면이 뚫려 있는 반자형(飯子形)이 주로 알려져 왔기 때문에 옆면에 공명구가 마련된 ‘경선사명 청동북’은 13세기 청동북 중 기년명이 있는 보기 드문 사례이자 독특한 제작기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고려 금속공예품 연구에서도 의미가 크다. 보물 제2009호 「장철 정사공신녹권(‘張哲 定社功臣錄券)」은 1398년(태조 7년) 11월에 공신도감(功臣都監)에서 제1차 왕자의 난(1398년)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운 정사공신 29명 중 한 명인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장철(張哲, 1359∼1399)에게 발급된 녹권(錄券)이다. * 공신도감(功臣都監): 조선 시대 공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 임시 관청. 1392년(태조 1년)에 처음 설치됨 * 녹권(錄券): 고려·조선 시대 공신도감이 왕명을 받아 공신에 책봉된 사람에게 발급한 문서 닥종이에 상․하 단변에 주사란(朱絲欄)을 긋고 공신호(功臣號)와 성명, 국왕의 명령으로 공신책봉을 하게 된 목적과 경위, 공신들의 공로와 관직, 그리고 공신의 포상과 이와 관련된 녹권의 발급 사실, 시행 일자 등이 순서대로 기록되었다. 이 녹권은 정사공신의 공적과 포상의 내역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한자어의 순우리말 표기인 이두(吏讀)가 많이 사용되었고 문서의 서식 또한 조선 초기 공신녹권 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고문서 연구에도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유일하게 확인된 조선 초기 정사공신녹권이자 역사적‧국어학적‧서지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자료이다. 보물 제2010호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慶州 人面文 圓瓦當)·사진」는 ‘신라의 미소’라고 널리 소개된 신라 시대 원와당(圓瓦當)으로, 일제시기 경주 사정리(沙正里, 현 사정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수막새는 1934년 일본인 다나카 도시노부(田中敏信)가 골동상점에서 구입한 당시부터 고고학술 자료를 통해 존재가 알려졌으며, 이후 일본으로 반출되었으나 1972년 10월 국내에 반환되었다. * 수막새: 목조건축의 추녀나 담장 끝에 기와를 마무리하기 위해 사용된 둥근 형태로 만든 와당으로 원와당(圓瓦當)으로 불림. 반면 수막새 아래 좌우로 장방형으로 부착된 드림새를 암막새(평와당)라고 함 와당 제작틀(와범)을 이용해 일률적으로 찍은 일반적인 제작 방식과 달리 손으로 직접 빚은 작품으로, 바탕흙을 채워 가면서 전체적인 형상을 만든 후 도구를 써서 세부 표현을 마무리한 것이다. 비록 오른쪽 아래 일부가 결실되었으나 얼굴 전면에 걸쳐 다듬은 흔적이 있고 이마와 두 눈, 오뚝한 코, 잔잔한 미소와 두 뺨의 턱 선이 조화를 이룬 자연스러운 모습 등 숙련된 장인의 솜씨가 엿보인다. * 와범(瓦范): 기와를 만들 때 쓰이는 거푸집. 점토를 넣어 모양을 만들 때 사용함 지금까지 유일하게 알려진 삼국 시대 얼굴무늬 수막새이자 신라인들의 염원과 인간적인 모습을 구현한 듯한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써, 신라의 우수한 와당 기술이 집약된 대표작으로 꼽힌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뉴스
    • 속보
    2018-11-27
  • 경기 용인(청미천) 야생조류 분변에서 H5N2형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 검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이개호)는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가 경기 용인시 청미천에서 채취(11.22)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중간검사결과, 11.26일 H5N2형 AI 항원이 검출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AI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항원이 검출된 지점을 중심으로, ① 반경 10km 지역을「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 ② 해당지역 내 가금과 사육중인 조류에 대한 예찰·검사, 이동통제와 소독, ③ 철새도래지와 소하천 등 인근농가에 대한 차단방역 강화, ④ 해당 지자체로 하여금 광역방제기 등 방역차량을 총 동원하여 매일 소독을 실시하는 등 방역조치를 취하였다. ※ 고병원성 여부 등 최종 판정에는 1∼2일 소요 예정 < 농림축산식품부>
    • 뉴스
    • 속보
    2018-11-27
  • “비 올 때는 사과 따지 마세요”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비 오는 날 사과를 따면 역병 전염으로 유통 중 과실이 썩을 수도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과 역병은 재배 중에도 나타나지만 수확한 과실을 유통, 저장하는 중에도 발생해 농가에 경제적 피해를 끼치는 주요 병해다. 역병 발생한 사과흙 속에 사는 사과 역병균은 주로 비가 내릴 때 빗방울에 튄 흙이 나무 아래쪽에 낮게 열린 과실을 썩게 한다. 병원균의 생태적 특성으로 물이 많은 환경에서 쉽게 확산하므로 비가 많이 내린 해에 잘 발생한다. 감염된 과실은 진한 갈색 또는 회갈색의 병반이 원형 혹은 일정하지 않은 모양으로 퍼진다. 병 발생 부위와 발생하지 않은 부위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으며, 뜨거운 물에 데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사과 수확 기간에 비가 내리면 토양 내에 역병균 발생이 늘고, 수확을 하다 땅에 놓았던 도구를 다시 사용하거나 흙탕물이 과실에 닿으면 병원균 전염되거나 병 발생이 증가한다. 시장 출하 시기에 맞춰 불가피하게 비가 올 때 수확을 해야 한다면 도구는 흙이 있는 바닥에 방치하지 않도록 한다. 또, 수확한 과실은 가급적 충분히 말린 후 출하하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이동혁 농업연구관은 "비가 오는 날 사과를 따지 않는 것만으로도 유통·저장 중 발생하는 역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도구를 깨끗이 관리하고 저장고를 소독하는 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뉴스
    • 속보
    2018-10-2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