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4(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 3.12() 귀농귀촌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유형, 귀농귀촌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지역융화 등을 포함하는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본 조사는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9조에 근거하여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하였으며, 조사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을 통해 최근 5년간(‘13~‘17) 귀농귀촌한 2,507 가구(귀농 1,257, 귀촌 1,250)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 조사했다

조사대상 2,507가구는 통계청에서 보유한 최근 5(‘13~’17)간 귀농귀촌한 161만 가구를 모집단으로 활용하여 지역, 이주 년도, 연령 등을 고려한 층화추출 방식으로 표본 추출하였으며,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은 ±2.8%p 이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U턴형, 귀농 53.0%, 귀촌 37.4%)하는 경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J턴형, 귀농 19.2%, 귀촌 18.5%)하는 비중까지 포함하는 경우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다시 농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 대부분 자발적인 이유로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경우, 자연환경이 좋아서(26.1%),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17.9%), 도시생활의 회의(14.4%), 가족 등과 가까운 곳에서 살기 위해(10.4%), 본인가족의 건강(10.4%), 실직이나 사업 실패(5.6%)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0세 미만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29.0%), 가업을 승계하기 위해(18.6%) 도시생활의 회의(16.7%), 자연환경이 좋아서(10.2%)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8.0%),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16.6%), 도시생활의 회의(14.1%),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0.8%) 순으로 나타났다.

귀촌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0.4%),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6.4%), 정서적인 여유(13.8%), 도시생활 회의(13.6%), 본인가족의 건강(11.9%), 실직이나 사업 실패(7.8%)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청년층은 가족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22.5%), 정서적인 여유(14.7%), 자연환경이 좋아서(13.7%), 도시생활 회의(13.3%) 순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은 자연환경이 좋아서(25.8%), 본인이나 가족의 건강(14.9%), 도시생활 회의(13.9%), 정서적인 여유(13.1%)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10가구중 6가구(귀농 60.5%, 귀촌 63.8%)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2.5%, 33.0%)는 보통, 1가구(7.0%, 3.2%)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으로 응답한 가구의 주요 불만족 이유로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귀농 가구가 귀농 준비에 평균적으로 27.5개월의 준비 기간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어, 사전에 많은 준비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19.7%가 귀촌이후 5년이내에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9.2%는 농업경영체에 등록, 0.5%는 등록 없이 영농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농업경영체 등록 시기는 귀촌 다음연도인 2년차에 평균 78.3%로 가장 많았고, 3년차 10.8%, 4년차 7.0%, 5년차에 1.1%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귀농어귀촌 통계조사(통계청 주관)에서는 귀농 가구에 포함되지 않지만 상당수의 귀촌가구가 지역여건 탐색 및 영농기반 마련 등 준비기간을 거쳐 농업에 유입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귀농 가구의 주재배작목 선택 이유로는 재배의 용이성(43.1%), 높은 소득(19.7), 주변인 권유(14.6), 지역 특화작목(13.3)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배면적 비중은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논벼(14.3), 특작·약용(9.8), 서류(6.1), 두류(4.4), 축산(2.5), 맥류(1.7), 화훼(1.7) 순으로 조사되었다.

귀농 가구의 43.1%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의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촌 가구의 87.2%가 직장 취업, 자영업, 농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주 주택으로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귀농 81.7%, 귀촌 59.6%)이 가장 많고, 아파트연립주택(귀농 14.8%, 귀촌 37.6%)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초기 주택 점유는 자가(귀농 73.4%, 귀촌 57.6%), 전월세(귀농 17.1%, 귀촌 37.4%), 지원 정책 활용(마을내 빈집, 귀농인의 집 등 임시거주 : 귀농 5.9%, 귀촌 2.2%)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가구의 66.7%, 귀촌가구의 27.8%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쉽 등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5년차가 된 ‘12년 귀농자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귀농 교육 경험자의 귀농 첫 해와 5년차 농업소득 증가폭(1,523만원)이 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귀농인(685만원)보다 훨씬 높게 조사되어, 귀농 교육이 농업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인간적인 교류, 영농기술장비 도움, 마을일모임 참여 활동 측면에서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다(귀농 76.9%, 귀촌 62.5%)고 응답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귀농 2.0%, 귀촌 1.7%로 나타났으며,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으로는 선입견과 텃세, 집이나 토지 문제,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등으로 조사되었다.

금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볼 때, 귀농귀촌인의 농업소득 향상 및 지역 적응 등에 귀농귀촌 교육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귀농귀촌 교육과 컨설팅 지원이 강화될 필요성이 큼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귀농귀촌인들의 농촌 정착시 소득부족 해소를 위한 일자리 지원 강화도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귀농귀촌인들의 귀농귀촌전 직업경력과 다양한 기술자격정보 등을 활용한 지역일자리(새일센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 및 창업지원(귀촌인 농산업 창업지원 등)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귀농인들이 재배작목 선정시 재배가 쉽고 높은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점을 주요 요건으로 고려함에 따라, 귀농귀촌인과 지역민간 갈등요인인 선입견과 텃세를 완화하기 위한 융화교육도 확대가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귀농귀촌인이 생활에서 느끼는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토록 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문화복지 등 기반을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심층분석하여 귀농귀촌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보완 방안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면서,귀농귀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귀농귀촌 인구가 2017년 기준으로 50만을 넘어서는 등 귀농귀촌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귀농귀촌 실태의 면밀한 파악을 위해 유의미한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도록 실태조사를 지속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귀농귀촌인이 농촌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2018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